한은 단기 유동성 공급, 증권사 리스크↓에 효과?

변혜진 기자 입력 : 2020.04.21 06:50 ㅣ 수정 : 2020.04.21 06:50

실효성 의견 엇갈려…증권사 위험자산 투자 축소 불가피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변혜진 기자] 한국은행이 직접 증권사 등 비은행금융기관에 단기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침을 발표함에 따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경색으로 유동성 리스크에 직면한 증권사들에 어느 정도 안정화 효과가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국은행의 유동성 공급 방침이 우량등급의 회사채로 한정돼 있어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금융당국이 단기 유동성을 보장해주는 안전판을 확보함으로써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줄 것이란 예상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융안정특별대출제도’를 논의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지난 16일 증권사·보험사 등 비은행 금융기관에 일반기업이 발행한 우량 회사채(신용등급 AA- 이상)를 담보로 최장 6개월 이내의 만기 대출을 해주는 ‘금융안정특별대출제도’를 발표했다. 이번 제도는 다음달 4일부터 7월까지 시행되며 총 대출한도 규모는 10조원에 달한다.

금융안정특별대출제는 금융당국이 지난달 도입한 42조원 규모의 ‘금융시장안정화방안’에서 실질적인 유동성 지원을 받지 못한 증권사에 단기적인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는 증권사들이 실질적인 유동성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도 증권시장안정펀드 출자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놓임에 따라 그동안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채권시장안정펀드 매입 대상과 산업은행·기업은행 매입 기업어음(CP)에서 증권사 발행 CP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자산유동화기업어음(PF ABCP)은 제외됐다.

이에 더해 4월 만기가 도래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증권 규모가 11조원에 달하자, 증권사들의 유동성 리스크도 심화됐다. PF 유동화증권은 증권사가 부동산 PF 시행사의 대출 채권을 담보로 발행하는 증권이다. 매매되지 않을 경우, 증권사가 매입을 하는 방식으로 약정이 맺어져 있기 때문에 증권사의 부담이 그만큼 커진다.

따라서 한국은행의 이번 금융안정특별대출제도는 처음으로 한국은행이 증권사에 대출을 해줘 증권사들의 유동성 리스크 방지에 나선 것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국은행이 우선 우량 회사채 담보 대출을 시행하고, 향후 금융기관이  자체적으로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한 금융채·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의 담보 대출 등, 추가 재정정책의 여력을 남겨둘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이 중기적으로 차입구조를 장기물로 안정화하는 차입구조 장기화·CP 발행 등의 대응을 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줄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망된다.

[표=뉴스투데이 / 자료=자본시장연구원, 나이스신용평가]

 

■ 부동산PF 중심의 수익성 확대…단기 유동성 리스크로 연결

  

4월 만기가 도래하는 부동산 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과 PF-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는 약 11조원 규모다.

증권사별 4월 만기도래 금액은 미래에셋대우가 8조5500억원, 한국투자증권이 4조4160억원, 신한금융투자가 2조원, NH투자증권이 1조1110억원, 메리츠증권이 2조3500억원 등이다.

이는 그동안 증권사들이 공격적으로 부동산PF 등 IB 투자에 집중하면서 CP, 전자단기사채 등 단기 자금 조달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코로나19사태로 충격에 취약한 단기 금융시장이 타격을 받게 됐으며, 여기에 부동산경기 둔화가 심화되면서 부동산 PF대출 부실의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이에 국내 23개 증권사들은 4월 들어 신규 부동산 PF 유동화증권을 한 건도 발행하지 않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부동산 PF 유동화증권에 대한 수요도 급감했기 때문이다.

특히 부동산 PF 자산유동화단기물(3개월)의 경우, 대부분 증권사가 이를 사들이는 매입 약정을 하기 때문에 증권사들의 부담이 크다. 실제로 지난달 만기였던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 건들이 새로 발행된 채권으로 상환하는 차환에 실패해 보증 증권사들이 이를 사들인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증권사 관계자는 “국내 증권사들이 최근 2~3년동안 부동산PF를 집중적으로 늘려왔다”며,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금융경제 타격이 아닌 실물경제에 대한 충격으로 시작했음에도 바로 유동성 리스크로 이어진 것은 그만큼 증권사들의 위험자산 리스크 관리 취약성을 방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유동화증권 규모는 최근 4~5년 동안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자본시장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부동산 PF 유동화증권 잔액은 8조원으로 전년 대비(4조2000억원) 90.5% 증가했으며 2016년에는 40% 증가한 11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13조7000억원을 달성했다.

작년의 경우, 부동산 PF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의 발행 규모만 22조1083억원에 달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증권사들에게 PF 채무보증·대출을 관리하라는 경고를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증권사들이 부동산 PF에 대한 선제적인 관리방안이 부족했으며 이것이 결국 유동성 리스크로 이어졌다는 것이 업계 이야기다.

■ 증권사들, 중기적으로 차입구조 장기화·CP 발행장기적으로는 위험자산 투자↓

 

금융투자업계는 이번 한국은행의 단기 유동성 공급 방안의 효과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증권사 관계자 A씨는 “최근 증권사들이 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 급증 등 유동성 부족으로 이미 한 차례 위기를 겪었다”며, “이번 정책으로 증권사 대출 경로가 늘어나면서 단기금융시장을 어느 정도 안정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기자금 조달 부족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B씨는 “대부분 발행한지 5년 이내의 회사채만 대출 담보 범위에 포함시킨 것이 아쉽다”며, “보다 효과적인 유동성 공급을 위해서는 금융채나 여전채(대출만을 전문으로 하는 금융회사가 발행한 회사채)들이 포함됐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한국은행에서 증권사들에게 대폭적인 유동성 지원을 바로 시행하지 않는 것을 두고 향후 추가적인 지원의 여력을 남겨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서 제시한 대출금리는 통안증권(182일) 금리에 0.85%p를 가산한 것으로 낮은 편이 아니다. 시장에서 최대한 자본을 확보한 이후 유사시 대출을 활용하라는 취지다.

따라서 회사채 담보 대출이 소진된 이후에도 유동성 리스크 우려가 높으면 금융채·여전채를 담보로 대출을 시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더해 증권사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B씨는 “한국은행이 회사채 담보 대출을 3개월로 한정했다는 것은 이후 대책을 자발적으로 마련하라는 시그널”이라며 “만기가 긴 장기채 발행을 늘리는 등 단기 채권 단기자금조달에 집중돼 있는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장기채의 경우 금리가 높은 편이고 발행해서 운영하는 것에 대한 부담도 단기채에 비해 큰 편이다. 수익성 역시 크게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형사는 CP를 더 발행하는 방법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장기적으로 유동성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서 “과도한 부동산 PF 등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줄여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