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00519153047
JOB현장에선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보다 화웨이 제재에 긴장…트럼프·시진핑 갈등 향배 주목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원갑
입력 : 2020.05.20 07:19 ㅣ 수정 : 2020.05.20 07:19

미 상무부 화웨이 규제안의 모호성이 불씨/한국산 메모리 반도체는 미국 안보위협 없는 ‘표준 공산품’

[뉴스투데이=이원갑 기자] 중국의 대표적 통신기업 화웨이를 겨냥해 미국 상무부(BIS)가 새로 내놓은 제재안이 모호한 내용을 담고 있어 관련된 글로벌 기업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메모리반도체를 공급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 측의 구체적인 의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양사의 주력 제품인 D램과 낸드플래시가 화웨이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될지 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포함된다면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보다 더 타격이 크다. 메모리 반도체 수출물량중 화웨이가 차지하는 비중에 있어서 SK하이닉스가 훨씬 크다.
 
 
[사진제공=SK하이닉스]
 
 

화웨이 제재의 향배는 코로나19 책임론을 둘러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간의 정치경제적 갈등의 확대여부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양국 정상간 갈등이 격화되면 한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서로 다른 화웨이 수출 비중...삼성전자 1.4~3.29%, SK하이닉스 12.5~13.7%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된 추가 화웨이 제재안에서는 미국의 반도체 기술을 활용해 미국 외에서 제조된 반도체를 사용한 제품이 특정 대상(entity)을 향하는(destined) 경우 수출관리규정(EAR)을 적용받아 미국 수입 시 별도의 라이센스를 취득하도록 했다. 적용 대상 목록에 화웨이와 114개 해외법인을 포함시켰다. 다만 신규 제재안과 함께 화웨이 그룹에 대한 ‘임시 일반 라이센스’가 발급되면서 오는 8월 13일까지는 제재 적용이 미뤄지게 됐다.
 
이번 제재안이 겨냥하는 대상은 화웨이가 다른 업체에게 외주를 맡긴 제품(product)이다. 종전까지 미국산 반도체를 쓰지 못하도록 한 미국의 제재를 피해 화웨이가 외주 생산이라는 우회로를 탔던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문제는 대상이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상무부는 이 ‘제품’의 구체적 범위를 명확하게 발표하지 않았다.
 
황민성 삼성전자 연구원은 19일 보고서에서 “5월 15일 미국 상무성이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수출 금지(미국 라이센스 필요)를 공식화했다. 이미 만든 제품은 120일 내로 납품을 허용한다”며 “미국 기술(장비, 소프트웨어)을 사용한 반도체의 화웨이 수출 대상이나 범위와 대상이 아직 구체적이지 않아 대상 기업들도 구체적인 행정명령 파악에 분주한 모습”이라고 기술했다.
 
일단 제재안에 확실하게 타격을 입는 회사는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계 TSMC다. 이 회사는 화웨이가 설계한 휴대전화용 AP칩 등 시스템반도체의 위탁생산 주문을 받아 생산과 납품을 해 왔다. 미국의 제재로 이 회사가 만드는 화웨이 AP ‘기린’ 시리즈와 같은 제품은 사실상 화웨이가 직접 만드는 제품으로 취급돼 수입 규제 대상이 된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 미국과 일본에서 반도체 제조장비를 수입해 쓰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제조사들도 입장이 모호해진 상황이다. 이미 완성된 D램이나 플래시메모리 등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휴대전화에 화웨이 AP와 SK하이닉스 메모리를 함께 얹는 경우 어디까지가 규제 대상인지가 불분명해진다.
 

이들의 매출에서 화웨이향 납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불명확하지만 대체로 SK하이닉스 쪽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18일 유진투자증권은 블룸버그통신 집계 자료를 인용해 2019년 매출에서 화웨이향 메모리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SK하이닉스는 13.7%, 삼성전자는 1.4%라고 추정했다. 2018년에도 삼성전자가 8조원, SK하이닉스가 5조원의 메모리반도체를 화웨이에 팔면서 당시 연말 기준으로 각각 3.29%, 12.5%의 매출 비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TSMC의 AP칩은 화웨이 설계대로 위탁생산된 제품/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는 화웨이와 무관한 '표준 공산품'

 

따라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번 '화웨이 때리기'가  TSMC에 그치지 않고 메모리 반도체 분야까지 확대된다면, SK하이닉스가 겪게될 충격이 삼성전자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가 화웨이 수출규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안보상 위험 요인'이 없기 때문이다. 미 상무부가 발표한 화웨이 수출규제 대상의 조건은 두 가지이다. 첫째, '안보상 이유'이고 둘째는 '미국의 기술과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한 반도체'이다.

 

TSMC의 경우 파운드리 업체이다. 화웨이가 주문한 설계대로 AP칩을 제작해 공급해왔다. 사실상 화웨이 제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화웨이의 5G장비처럼 '백도어'를 심어서 미국의 안보를 위협할 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

 

반면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는 '표준화된 공산품'이다. 화웨이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제작된 반도체를 공급하는 것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가 화웨이에 공급된다고 해도 미국의 안보에 위협이 될 요소가 전혀 없는 것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