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의 전쟁사](37) 보훈의 달, 잊혀가는 영웅들과 지도자의 자세

김희철 칼럼니스트 입력 : 2020.05.29 15:36 ㅣ 수정 : 2020.06.01 09:08

민족적 비극 6.25남침전쟁의 희생자를 더 기려야/밴플리트와 마오쩌둥의 교훈도 되새겨야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김희철 칼럼니스트]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위해 40년전 5.18민주화운동으로 후유증까지 포함하면 사망569명, 행불 65명, 부상 3139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그런데 70년전 6.25남침전쟁에서는 우리나라의 공산화를 막아내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국군은 전사14만7000명, 부상 70만9000명, 행불13만1000명 등 98만7000명이 희생되었고, 민간인은 사망24만4600명, 부상22만9600명, 행불33만300명과 1000만의 이산가족이 발생했다. 이는 한민족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었다.
 
▲ 1952년 4월, 밴플리트 美 8군사령관의 외아들 지미플리터 공군중위가 B-26폭격기를 몰고 북한 순천지역에서 실종되었다는 기사와 1950년 11월25일 아침에 압록강 남쪽의 중국군 총사령부 막사에 유엔 공군기 폭격으로 전사한 마오쩌둥의 맏아들인 마오안잉 모습[사진제공 =국방부]
 
밴플리트 美 8군사령관의 외아들, 마오쩌둥의 맏아들도 6.25남침전쟁에서 전사 

6.25남침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파병한 16개국과 장비, 물자, 의료를 지원한 나라까지 67개국이 참전하였다. 이를 안재철 월드피스자유연합 이사장의 노력으로 2010년 9월 기네스북에 세계 최고기록으로 등재되었다. 전쟁간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유엔군의 피해는 전사 3만5737명, 부상 11만5068명, 실종1554명으로 총 15만 2359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현재 부산에 있는 재한유엔기념공원(UNMCK)에는 처음에 16개 파병국가의 1만1000위가 봉안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자국으로 송환되고 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터키, 미국, 영국 등 11개국의 2300여 유해가 안장되어 전쟁이 끝난 후까지도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이 땅에 잠들어 있다.

전쟁간 유엔군 중 특히 미군 장성의 아들 142명이 참전을 했다. 그들 중 35명이 전사, 실종 혹은 부상을 당했다. 

클라크 유엔군 총사령관의 아들 빌 대위는 일선 소총중대장을 자원, ‘단장의 능선’ 전투에서 3차례나 부상을 입었고 결국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해리스 해병 제1항공사단장의 아들인 해리스 소령도 장진호 작전을 지휘하다가 전사했다. 이는 참전한 일반 병사들의 전사·실종 부상자 비율보다 훨씬 더 높은 것이었다.

아들을 전쟁터로 보낸 장군들은 “군인으로서의 명예도 중요했지만, 지도자로서의 사회적, 정치적 판단과 책임이 더 중요했다”라고 이야기하면서 당연한 조치라고 했다.

또한 한국전쟁을 총 지휘했던 밴플리트 美 8군사령관의 외아들 지미플리터 중위도 공군조종사로 1952년 4월4일 B-26폭격기를 몰고 북한 순천지역에서 실종되어 시신마저 찾지 못하고 전사했다. 

자신의 아들을 찾기 위해 수색 및 구출 작전을 시도하는 예하부하들에게 “모든 부모님들이 저와 같은 심정일 겁니다”라며 “내 아들을 찾기 위해 다른 이들의 아들들을 그 위험한 곳에 보낼 수 없다. ‘지미플리터’ 공군 조종사에 대한 수색은 여기서 중단한다”고 말했다.
 
한편 1950년, 중국이 한국전쟁 참전을 결정했을 때 마오쩌둥 주석의 맏아들인 마오안잉(毛岸英)이 자원입대했다. 새어머니인 장칭(江靑) 등이 만류하자 마오쩌둥이 “마오의 아들이 죽음을 무서워한다면 어느 누가 아들을 전장으로 보내겠는가?”라며 일축했다.

마오안잉은 두번째 부인인 양카이후이(楊開慧)가 낳은 아들이었다. 양카이후이는 1930년 국민당 군벌에게 붙잡혀 “남편을 배반하라”는 집요한 설득을 뿌리치고 총살당했다. 그런 양카이후이가 낳은 자식이었으니 얼마나 끔찍이 여겼을까가 짐작되었다.

하지만 1950년 11월25일 아침에 압록강 남쪽의 중국군 총사령부 막사에 소이탄 100여발이 떨어졌고 마오안잉은 시신으로 발견됐다. 뒤늦게 아들의 전사소식을 들은 마오 주석은 줄담배를 피우다 한마디 던졌다. “그 놈은 마오쩌둥의 아들이니까….” 

장남의 시신 송환문제가 논의되자 마오 주석은 “자기 자식을 아끼지 않는 부모는 없습니다. 혁명을 위해 피를 뿌리고 희생된 이는 아주 많습니다”라며 “중국 인민의 의리를 말해주는 표본이니, 그냥 조선반도(한반도)에 두라”고 딱 잘라 말했다. 

이러한 사례들을 살펴보면 지도자 노릇 하기도, 지도자의 자식 노릇을 하기도 어려운 것 같다.
 
▲ 2015년 3월 20일, ‘한국 육군의 아버지’로 불리는 밴플리트 장군의 고손자(4대손)인 콜린 패트릭 맥클로이(Collin Patrick McCloy) 미 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 3학년 사관생도가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를 방문해 밴플리트 장군 동상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과 밴플리트 장군이 100세로 별세하기 2개월 전(1992년) 한국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에게 보낸 편지 [자료제공=육군사관학교]

  

상위 10% 지도층들의 실력, 국가관, 도덕관이 그 나라의 국력을 결정

미국을 다녀온 많은 사람들은 90%의 일반국민들을 비교하면 한국이 미국보다 결코 뒤떨어지지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한국계 미국인들의 말처럼 “여기는 한국처럼 일확천금은 불가능해도 한국사람처럼 머리 좋은 사람들은 열심히 노력만 하면 충분히 잘 살 수 있는 곳”이 바로 미국 땅이다. 하지만 상위 10% 지도층들의 실력 국가관 도덕관을 비교해보면 딱 두 나라간의 그 엄청난 국력차이만큼 벌어져있다는 생각을 떨칠 길이 없다.

미국 워싱턴에는 한국전쟁참전용사 기념비와 조형물이 있다. 그곳에서 4개의 영어단어가 주제로 제시되어 있다.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져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으로 피를 흘려야 자유를 지킬 수 있다는 뜻이다.

밴플리트 장군이 100세로 별세하기 2개월 전(1992년)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에게 보낸 편지가 육사기념관에 보관되어 있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마침 21대 국회가 개원했다. 코로나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국가를 위해 헌신하려고 하는 국회의원들에게 밴플리트 장군의 편지를 제시하니, 반드시 읽고 정책에 반영하여 국가안보가 더 튼튼해지길 기대해본다.

“인내심과 불굴의 의지를 갖고 있는 자유를 사랑하는 국민은 그들의 꿈을 실현시킬 수 있습니다.

자유란 소중한 것이지만 또한 소멸되기 쉬운 것이기도 합니다. 자유를 사랑하는 국민은 그들의 ‘자유’를 수호할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그들은 군대가 필요하며 그 군대는 국민의 의사에 응해야 하고 그 군대의 전문성과 모범은 시민들로부터 높은 존경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미 육군대장 밴플리트)”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현재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 (알에이치코리아, 2016)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