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장원수 기자] 두산인프라코어의 새 주인으로 현대중공업그룹이 선정됐다.
1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이날 현대중공업그룹-KDB인베스트 컨소시엄(이하 현대중공업그룹)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KDB산업은행 채권단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그룹과 현대중공업측은 추가 협상을 거쳐 올해 안에 본계약을 체결, 거래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난달 24일 진행된 두산인프라코어 본입찰엔 현대중공업 컨소시엄과 유진기업이 참여했다. 반면 유력 인수후보로 꼽혔던 GS건설은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 우발 채무 리스크 등을 이유로 응찰하지 않았다. 자금력이 가장 우수한 MBK파트너스도 불확실성을 이유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현대중공업 컨소시엄의 우위를 점쳐왔다. 현대중공업측이 제시한 가격은 9000억원에 조금 못미치는 수준으로 당초 시장에서 예상했던 7000억원~1조원 가격 범위 중 상단에 해당 된다.
두산그룹 측은 2~3주간의 추가 협상 이후 연내 주식매매계약(SPA)를 맺겠다는 계획이다. 계약이 마무리되면 현대중공업은 건설기계시장에서 글로벌 5위권 업체로 올라서게 된다. 지난해 기준 두산인프라코어는 시장점유율이 3.3%인 세계 9위 건설기계 제조업체다. 현대중공업지주는 시장점유율 1.2%인 현대건설기계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변수는 남아있다. 시장점유율이 50%를 넘으면 독과점으로 간주하기에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다만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은 산업은행이 추진 중인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에 따른 절차이기에 기업결합심사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 소송과 관련해 7000억~1조원 수준으로 추산되는 우발채무 문제도 변수다. 두산 측은 우발채무가 발생하면 떠안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논의가 불가피하다.
한편 두산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 매각까지 마무리할 경우 주력·핵심 계열사 매각을 통해 3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두산 측의 재무구조 개선 계획도 마무리 수순을 밟게 됐다. 두산그룹은 당초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3조6000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으면서 3조원의 자구안 이행을 약속했다.
두산그룹은 두산솔루스와 모트롤, 두산타워 등을 매각 등으로 2조원대 초반의 자금을 확보했는데 두산인프라코어로 9000억원 가까운 자금을 확보할 경우 3조원의 목표치에 근접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