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대 인플레이션율 10년 만에 최고치 기록

고은하 기자 입력 : 2021.05.11 14:53 ㅣ 수정 : 2021.05.11 14:53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4월 소비자 기대지수 조사(SCE), 물가 상승 기대치는 향후 1년간 3.4%로 집계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미국 연방준비위원회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고은하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최근 물가 상승을 일시적인 흐름으로 평가한데 반해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지표와 반응에선 심상치 않은 조짐들이 연이어 나타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4월 소비자 기대지수 조사(SCE) 결과에 따르면 물가 상승 기대치(중앙값)는 향후 1년간 3.4%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9월 조사 이후 최고치다.

 

SCE는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약 1300가구를 패널로 선정해 벌이는 것이다. 조사 결과는 일종의 소비자 심리 지표다.

 

물가 상승 우려는 심리 지표에만 나타나는 게 아니라 금융 시장에서는 이미 가격에도 반영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5년 기대인플레이션율(BEI)은 이날 2011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물가채와 일반 국채의 금리 차이에 기반해 산출하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연준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됨에 따라 달러화 가치를 갉아먹을 것이라는 투자자들도 증가해 이날 달러화 가치는 거의 10주 만의 최저치 수준에 그쳤다고 전했다.

 

실제로 실물 시장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공급망 차질의 여파가 남아 잇는 가운데 미국 등이 경제 회복세를 보이면서 철, 구리 같은 원자재부터 콩, 옥수수 등 농산물까지 적지 않은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이 중 많은 전자제품 등에 들어가는 구리의 국제 가격은 지난 8일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기본 광물인 철강 원자재 가격도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 7일 철강 분야에 종사하는 직장인이라고 밝힌 한 청원인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지난해 11월 기점으로 철자재 가격이 70% 이상 단기간 인상됐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농산물 가운데서도 옥수수 가격이 올해 들어 거의 50% 상승했고, 대두는 2012년 이후 최고치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적인 배터리 업체 에너자이저 홀딩스의 마크 러바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실적 발표 후 가진 콘퍼런스콜에서 원자재, 임금, 운송 등 늘어나는 비용 부담이 “일시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제매체 마켓워치는 러바인의 이런 평가는 최근 물가 상승이 일시적 요인에 기인한 것이라는 연준으 진단과는 반대라고 전했다.

 

지난달 28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것을 목격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며 “제로 수준의 금리와 현 수준의 자산매입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시장은 이런 판단이 잘못돼 물가 상승세가 점점 더 심상치 않아지면 연준이 입장을 바꿔 통화 정책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연준을 주목하고 있다.

 

다가오는 12일 발표될 예정인 4월 미국 소비자물가가 시장 참여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증시에선 금리에 민감한 대형기술주들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0% 내렷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55%나 하락했다.

 

종목별론 페이스북(-4.1%), 아마존(-3.1%), 애플(-2.6%), 구글 모회사 알파벳(-2.6%), 테슬라(-6.4%) 등의 낙폭이 큰 편이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