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최정호 기자] 결제 플랫폼 ‘카카오페이’가 오는 10월 14일 코스피 상장이 유력시되고 있지만, 사업 영역이 불투명해 시장 안팎으로부터 거품 논란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페이의 주요 수익원은 결제 서비스를 통한 이윤창출이다. 지난해까지 결제 서비스에서 걷어드리는 수익으로 기업을 운영해 왔지만 적자를 면치 못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카카오페이는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금융사와 B2B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최근 금융사들이 자사 플랫폼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어 카카오페이의 B2B 사업 영역도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결제 서비스는 고객들이 가맹점 등에서 카카오페이로 결제하면 카드사와 수수료를 나눠 갖는 구조였다. 이로 인해 가맹점주들의 수수료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카카오페이는 플랫폼상에서 시중은행들의 대출한도를 조회할 수 있게 해 놓고 이에 대한 수수료를 시중은행들로부터 받았다.
또 플랫폼상에서 금융사들에게 광고할 수 있게 해주고 게재료를 받는 게 카카오페이의 수익구조의 대부분이다.
카카오페이의 이 같은 수익구조를 두고 전문가들은 “카카오페이가 직접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면서 “기업공개를 통해 유치된 자금으로 신규 사업을 하지 않은 이상 실적 개선은 힘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때문인지 기존 카드업계 또한 카카오페이의 상장에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카카오페이가 상장한다 해도 수익 창출 구조가 뒷받침해주지 않는다고 판단해 카드사들은 별다른 경계를 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대형 신용카드사의 한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우리나라는 충전을 해서 지불하기 보다는 카드를 이용해 결제하는 기조가 압도적”이라면서 “카카오페이에 막대한 자금이 유입돼 혁신적 사업 모델이 개발되지 않는 이상 경계할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 놓인 카카오페이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전금법 개정안) 통과에 희망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금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카카오페이는 선불 결제 서비스 사업자가 되기 때문에 결제 사업 영역이 확장돼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