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11111500130
ESG포럼 2021

반성적 사고 요구한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 'ESG ETF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거품인가'

글자확대 글자축소
고은하 기자
입력 : 2021.11.12 13:56 ㅣ 수정 : 2021.11.18 08:34

"ESG경영은 '계속기업(going concern)' 대체하는 패러다임 전환될 수 없어"

image
'ESG ETF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거품인가'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 [사진=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고은하 기자] "기존에는 기업을 재무적 정보(매출과 이익) 관점에서 평가했다면 이제는 E, S, G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평가해야 한다"

 

1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업의 ESG경영현실과 바람직한 ESG입법 방향'을 주제로 열린 'ESG 포럼 2021'에서 'ESG ETF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거품인가'를 주제로 삼아 발표에 나선 조동근 명지대 명예 교수는 이처럼 ESG경영이 중시되는 현실을 지적했다. 

 

조 교수는 "ESG는 투자자와 자본시장에서 촉발된 개념으로 정부규제와 이해관계자의 요구가 반영된 수동적 CSR(사회적 책임) 그 이상"이라며 "ESG는 글로벌 기관 투자자와 자산보유기관 등이 투자수익을 개선하기 위해 주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주주친화적 행동지침"이라고 설명했다. "ESG는 트렌드를 넘어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으로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되는 게 현실"이라는 것이다. 

 

■ ESG에 대한 몇 가지 불편한 질문 던져 / "ESG ETF는 기관투자자들이 투자자금을 끌어모아 상업적 이득을 꾀하기 위한 수단?"

 

조 교수는 이러한 현실을 논박하는 몇 가지 질문을  던짐으로써 '반성적 사고(反省的 思考)'를 해볼 것을 요구했다.  "'기업의 CSR을 요구하는 주체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가. ESG기업 주가 급등이 수익증가보다 'ESG관련 투자급등(ETF)'에 견인된 것이라면 '마차가 말을 끈 것은 아닌가"등과 같은 불편한 질문을 던져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조 교수는 "ESG경영은 사전적 의도와 달리 ESG를 빌미로 한 규제기관의 '기업통제강화와 연금 사회주의' 실현의 통로로 전락할 수 있다"면서 "ESG ETF는 기관투자자들이 투자자금을 끌어 모아 상업적 이득을 꾀하기 위한 'ESG무늬입히기'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 주목받는 글로벌 ESG ETF 투자의 수익성

 

조 교수도 소위 'ESG 투자의 수익성'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인정하기도 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ESG 관련 기업에 투자한 블랙록의 'ESG ETF(SUSL)'은 올들어 10월 5일까지 17.51%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상품구성은 MS(10.43%)와 알파벳 클래스A(4.14%), 클래스B(4.01%)로 구성돼 있다.

 

뱅가드 ESG ETF(ESGV)는 올해 들어 10월 5일까지 14.76% 수익률을 실현했다. 구체적으로는 술과 담배, 도박, 무기, 화석연료 등에 투자하지 않았다.

 

지난해 글로벌 ESG ETF로 유입된 자금이 970억 달러에 달한다. 최근 1년간 국내 증시에 상장된 ESG ETF 10개 중 7개 25% 넘게 상승했다.

 

FOCUS ESG리더스는 43.48% 상승했고, 'KRX ESG Leaders 150지수'를 추종하고 있다. 또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통합점수를 고려해 투자 종목을 편입했다.

 

■ 조 교수, ESG가 '계속기업(going concern)'을 대체하는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주장에 대해 통렬하게 비판

 

하지만 ESG경영이 이윤을 극대화함으로써 '계속기업(going concern)'으로 가야한다는 기존의 시장경제 철칙을 뒤집어 업는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통렬하게 비판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패러다임은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화에서 개념화됐다"며 "과학적 지식은 누적적, 연속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파괴적이고 혁명적 과정'을 통해 변화와 발전한다는 주장이다. 또 기조 패러다임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이례적 상황이 누적적으로 전개되고, 자기방어에 실패하는 경우 과학적 변혁기로 이행하게 된다.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면 수수께끼풀이 등 자기강화 과정을 통해 패러다임을 공고화 하게 된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 기준에서 볼 때, ESG는 3가지 부문에서 기여한다는 게 조 교수의 입장이다. △비재무적 정보(E,S,G)가 장기적으로 그 기업의 재무적 정보를 결정 △기업의 비재무적 정보를 기저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효율을 담보 △최근 ESG ETF에 투자자금이 몰리는 것 등이 ESG가 뉴패러다임이 될 수 있는 근거라는 이야기이다. 

 

■ '계속기업'은 자연스럽게 ESG 경영 실현 / ESG는 뉴패러다임이라고 보기 어려워 

 

그럼에도 불구하고 ESG 경영이 뉴패러다임이 아니라는 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우선 조 교수는 그는 "기존의 '계속기업'이라는 기준으로 투자를 해도 좋은 기업에 대한 투자(ESG)라는 기준을 충족시키지못하는 것은 아니다"고 꼬집었다. 소위 이익창출이 많아 '계속기업'이 될 수 있는 기업이 친환경(E), 사회공헌(S), 투명한 지배구조(G)등과 같은 가치를 실천할 재력과 의지를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즉 "등산을 하면 건강해진다"는 ESG경영철학의 논리이지만 실제로는 "건강한 사람이 등산을 하고 그래서 더 건강해지는 게 현실"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ESG는 트렌드일 수는 있어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기는 어렵다"며 "ESG로 과속하면 '거품'으로 붕괴될 수 있다"고 말했다.

 

image
' ESG가 패러다임이 아닐 수 있는 이유'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 [사진=뉴스투데이]

 

■ "정부 주도 K-ESG 평가 지표는 첫 발을 잘못 디뎌, 시장에서 표준이 선택되도록 놔둬야" / "포스코는 최상위 등급 받았으나 온실가스 배출 주범"

 

ESG 경영 및 투자를 위한 평가지표도 '시장 자율'에 의한 선택이 최선이라고 주장했다. 정부 주도의 평가지표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그는 "정부 주도의 K-ESG 평가지표는 첫발을 잘못 디딘 것"이라며 "평가지표 난립은 불가피한 것이다. 시장표준이 선택되도록 놔둬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개발된 K-ESG 지표를 국내 200개 기업에 적용한 결과 포스코는 최상위 A등급 평가받았다"며 "평가결과에 대해서 불신을 자초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포스코는 연간 800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2% 차지하는 수치다.

 

지난 5년간 포스코는 산재관련 법 위반 사항이 7000여건이고, 산재 관련 사망자 수는 43명이다.

 

그는 "투자자에게 '기업의 비재무적 투자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평가지표 난립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ESG요인과 기업의 재무적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해 ESG 종합평가에서 A+등급은 0.49%와 A 등급은 4.29%에 지나지 않고 B 등급이 대부분"이라며 "ESG가 아닌 개별 E, S, G 평가에서 G의 A+ 등급은 0.49%이고 A 등급은 4.29%에 지나지 않고 B 등급이 대부분 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지표 결과에서 '평가기관인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반재벌정서가 감지되는 것 같다"고 했다.

 

■ "ESG 경영이 국가개입의 통로가 되선 안돼"

 

조 교수는 ESG열풍에서 발견되는 정책점 시사점을 6가지로 정리했다. 다분히 비판적인 입장이다. 

 

그는 △ESG는 선으로 포장된 좌파적 정책 △소비자와 투자자가 착한 기업을 요구 △'ESG경영과 생산성' 간의 관계 오독 우려 △ESG ETF로 ESG 기업에 투자 몰기 △ESG경영이 국가개입의 통로가 돼서는 안된다로 분류했다.

 

그는 "정치권은 ESG를 발판으로 규제를 양산하려 하고, 정부는 ESG의 모범규준을 제시하려 하는 것"이라면서 "하지만 'ESG경영이 국가개입의 통로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