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행정·사회복지 ‘상용직’이 지난 해 일자리 증가 주도, 자영업과 제조업은 여전히 감소세
[뉴스투데이=박희중 기자] 지난해 취업자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이 컸던 2020년에 대한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7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과 자영업 일자리는 여전히 감소세를 면치 못했으나 공공행정·사회복지 ‘상용직’ 부문이 회복세를 견인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72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9000명 증가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30만1000명, 2018년 9만7000명, 2017년 31만6000명 등의 취업자 수 증가를 넘어선 수치이다. 2020년에는 취업자 21만8000명이 감소했었다.
업종별로 따지면, 도소매업 15만명 감소, 제조업 8000명 감소,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5만 5000명 감소, 숙박 및 음식점업 4만7000명 감소, 예술 및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만9000명 감소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9만8000명, 운수 및 창고업 10만3000명, 건설업 7만4000명 등으로 증가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페이스북에서 “고용위기 상황에서 일자리 버팀목 역할을 하였던 공공행정·보건복지업은 민간 일자리 개선세가 뚜렷해지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축소(11월 36% → 12월 15%)되고 있다”면서 “이들 분야의 최근 취업자 증가는 정부 일자리 사업과 연관성 낮은 상용직 근로자가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자리 회복세가 공공행정·보건복지업의 임시직 증가에서 비롯됐다는 비판을 반박한 것이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021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감소가 컸던 2020년의 기저효과와 비대면·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 변화, 수출 호조 등으로 고용 회복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