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국내 은행의 이자 이익은 11조60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조3000억원 늘었다. 3분기까지 누적 이자 이익은 3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정부와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 대출 총량 증가 제한 등 규제에 나선 점도 대출금리 상승을 부채질했다. 은행들이 이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반면 예금금리는 찔끔 올리는 데 그쳤다.
기업의 성과급은 이익 분배로 조직의 결속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지급된다. 일례로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 임직원에 연봉 5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유독 은행의 이번 성과급 잔치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코로나19와 총량규제 등 특수성이 불러온 실적 상승을 과연 이들의 경영 성과로 볼 수 있냐는 지적이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벌어들인 이익은 고스란히 은행가들의 호주머니로 들어갔다”며 “물론 이익이 나면 성과급도 줄 수 있지만, 그 이익의 대부분이 소상공인과 서민들의 약탈적 대출이자로 번 돈이라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 위기 속 서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은행들도 사회적 책임 차원으로 고통 분담에 나서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처장은 “예대금리차를 이용해 (은행이) 영업을 잘했다며 성과급 잔치하는 건 일반인들이 봤을 때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다”며 “코로나19 시국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유예된 이자에 대해 일부 감면해주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 은행도 (위기 극복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다고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인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과가 좋은 것에 대해 좋다, 나쁘다라고 얘기하긴 힘들다”면서도 “지금 은행들이 표정관리를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오기 전에 은행들도 (금융 지원 등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