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일본에선(506)] 2년 연속 불어 닥친 희망퇴직 한파에 일본 직장인들 고용불안 극에 달해
정승원 기자 입력 : 2022.01.13 08:45 ㅣ 수정 : 2022.01.13 08:45
JT, 혼다, 킨테츠, KNT-CT홀딩스, 파나소닉 등은 작년 1000명 이상 대규모 희망퇴직 실시, 의류 전자제품 관광 업종 직격탄
[뉴스투데이/도쿄=김효진 통신원] 코로나를 계기로 2020년부터 희망퇴직을 활용하여 인원감축과 경영효율화를 꾀한 일본 기업들이 급증했는데 도쿄상공리서치의 조사에 의하면 2021년에도 일본 내 상장기업 중 최소 80곳 이상이 1만 5000명이 넘는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2020년의 93개 기업, 1만 8635명 규모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지만 두 해 연속으로 80개 이상의 상장기업이 희망퇴직을 실시한 역사는 리먼 쇼크의 후폭풍에 시달렸던 2009년과 2010년 이래 처음이다.
2년 연속으로 1만 5000명 이상의 대규모 희망퇴직이 이루어진 것은 IT버블이 터졌던 2002년, 2003년 이래 처음이다.
작년에 1000명 이상의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한 상장기업은 총 5곳으로 한국의 KT&G에 해당하는 JT(3000여명 모집),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사 혼다(모집규모 무제한에 2000명 이상 지원), 킨테츠(近鉄)그룹의 여행사업을 총괄하는 KNT―CT홀딩스(모집규모 미상에 1439명 지원), 주택건설기업 LIXIL(1200명 모집에 965명 지원), 전자제품으로 유명한 파나소닉(모집규모 미상에 1000명 이상 지원) 등이다.
업계별로는 2020년에 이어 작년에도 의류 및 섬유가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전자제품(9곳), 관광을 포함한 서비스(7곳) 순으로 희망퇴직이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이들 기업의 약 60%는 최근 결산에서 적자를 기록했다.
반대로 말하면 40%정도의 기업들은 코로나 상황에서 꿋꿋이 흑자를 달성하였음에도 구조조정을 감행했다는 이야기인데 자세한 이유는 기업마다 다르겠지만 탈탄소(脱炭素), 전기자동차 보급, 인구감소 등이 주된 원인으로 거론되었다.
심지어 비상장기업의 희망퇴직은 이번 집계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상장기업 중에서도 희망퇴직 규모와 모집결과를 정확히 밝히지 않은 곳도 있어 실제 규모는 1만 5000명은 물론 2020년마저 상회하였을 수도 있다는 추측이 오가고 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이라면 일본 기업들의 구조조정 대상이 기존에는 비정규직과 파견직에 집중되었다면 코로나 이후에는 그 범위가 정규직까지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본 후생노동성은 2020년 2월부터 코로나를 이유로 해고나 고용중지에 처한 직장인이 2021년 12월 말 기준으로 총 12만 3000여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는데 그 중 과반 수 이상이 정규직이었다.
이에 대해 도쿄상공리서치 측은 적자 기업들은 지혈형(止血型) 희망퇴직을, 흑자 기업들은 선행형(先行型) 희망퇴직을 각각 진행하면서 기업들 사이에서도 구조조정의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기업들은 희망퇴직을 통해 비용을 삭감하는 동시에 직원들이 다방면으로 활약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시한다고 어필하고 있지만 정작 일본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고용신분이나 코로나의 종식 등과는 상관없이 언제든 구조조정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번져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