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현장에선] 현대·기아차 생산라인과 5개 한국전력 자회사 직원의 과제는 '직업 전환'

모도원 기자 입력 : 2022.03.04 07:05 ㅣ 수정 : 2022.03.04 10:18

한국남동발전, 남부발전 등 5개 석탄화력발전소 일자리 2030년까지 42% 감소
현대차 등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인력 2030년까지 18% 감소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석탄화력발전소 내부 모습 [사진=공공운수노조 발전비정규직 전체대표자회의]

 

[뉴스투데이=모도원 기자] 탄소 중립을 이행하는 산업구조의 변환이 시작되면서 일자리의 변화 물결이 거세다. 특히 내연기관 차량 생산과 석탄화력발전소 등 탄소 다(多)배출 산업에 종사하던 인력들은 '탄소중립 산업'으로의 이동이 빨라지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내연기관 차량 생산라인 근로자와 부품업체 직원들의 일감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5개 석탄화력발전소도 단계적으로  규모와 인력을 감축하는 추세이다.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은 구조조정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1월 나온 고용노동부 분석에 따르면, 이 두 산업에서만 90만명의 고용충격이 예상되고 있다. 고용충격이란 일자리 상실의 위기에 직면한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해당 산업 종사자들은 고용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각자 살아남을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다. 5개 화력발전소는 노조통합등과 같은 자구노력을 추진하면서 정부 지원을 촉구할 계획이다. 내연기관 인력 또한 미래차 부품으로 전환하기 위해 관련 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이양 준비에 나섰다.

 

■ 김재민 남동발전소 노동조합 사무처장 "5개 노조를 하나로 통합해 정부 지원 이끌어낼 것" / 김종호 남부발전소 노동조합 사무처장, "화력발전소 인력들, LNG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환배치 추진"

 

한국남동발전·한국남부발전·한국동서발전·한국서부발전·한국중부발전 등 5개 화력발전사 노동조합은 지난달 초 각 사 노조위원장들이 모여 노조통합을 추진하기로 했다. 화력발전 노동자의 일자리 사수와 발전사 간 출혈 경쟁 분쇄, 전력 공공성 강화 등이 이유다. 지난 해 9월 노조통합 준비위원회가 출범한지 4개월만에 구체적 행보에 돌입한 셈이다. 

 

이들 5개사는 2001년 한전 자회사로 독립된 후 생산성을 향상시켜왔다. 하지만 화력발전이 대표적 탄소배출산업으로 규정되고 감축을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전 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 정부도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기조에 맞춰 2034년까지 전체 석탄화력발전소 60기 중 30기를 폐쇄하는 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단계적으로 화력발전을 국가 산업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이다.

 

탈탄소화 기조에 더불어 한전을 포함한 6개 발전사가 몇 년째 적자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노조통합의 주 요인 중 하나다.

 

image
[표=뉴스투데이]

 

정부의 2021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자료에 따르면 한전과 6개 발전자회사의 지난해 당기순손실 규모는 4조252억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화력발전소들은 비슷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자 분리된 상태에서 비용부담만 늘어갈 바에야 통합해서 운영하는게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노조통합 추진은 이런 인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60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일하는 인력은 총 2만2306명이다. 정부의 계획에 따라 화력발전소가 단계적으로 감축되면 관련 일자리는 2030년까지 1만2714개로 43%(9592개) 감소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는 정부의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기초한 것으로 지난달 새롭게 위원회가 구성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반영됨에 따라 예상되는 석탄화력발전소 일자리 감소는 더욱 큰 폭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전방위적인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각 화력발전소의 노조는 일단 별개로 흩어져있는 노조라도 통합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자는 입장이다.

 

김재민 남동발전소 노동조합 사무처장은 3일 뉴스투에이와의 통화에서 “회사 차원에서도 직면한 위기들에 대응을 하겠지만, 일단 각 노동조합을 하나로 통합해 대표성을 갖추고 정부가 산업구조 변화 대응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우리들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입지를 키우자는 입장이다”고 밝혔다.

 

화력발전 5사의 노조통합은 각 사가 별도의 법인으로 운영돼 인력 교류가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다. 산업구조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력이 부족한 곳과 인력을 내보내야 하는 곳의 균형을 맞춰 일자리 감소율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김종호 남부발전소 노동조합 사무처장도 본지와의 통화에서 “석탄화력 쪽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산업구조가 이행되다보니 인력의 수요과 공급이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화력발전에서 메가와트당 필요한 인력은 100명을 넘기지만, 태양광과 풍력같은 신재생 에너지는 고용이 거의 안되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김 처장은 “시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화력발전소의 인력들이 전환배치로 LNG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흡수시킬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모든 화력발전 5개사는 LNG 터미널 건설 사업을 진행중이다. 부지 내 저장탱크를 건설하고 LNG를 직도입해 에너지 발전원을 화력발전에서 LNG 발전으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인력 또한 화력발전의 인력을 LNG 발전 인력으로 전환배치 한다는 계획이다.

 

image
자동차 생산라인 모습 [사진=연합뉴스]

 

 현대차·제네시스 전기차 판매 비중, 지난해 4%에서 2030년 36%로 급성장 / 자동차 ISC 출범...직무전환 교육으로 내연기관 인력을 미래차 부품 인력으로 양성

 

자동차 산업 또한 내연기관에서 미래차로 넘어가는 산업 대전환기에 들어서며 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기업의 미래차 개발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미래차 산업 기술인력이 2015년 9476명에서 2028년까지 8만9069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 연간 4600여명의 인력이 필요한데 정부는 올해까지 연간 1100여명 친환경차 인력을 배출했다. 내년부터 인재양성 규모는 2300명대로 늘릴 계획이다. 여전히 업계가 요구하는 수준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실정이다.

 

반면 엔진, 동력기관 등 내연기관의 부품수가 미래차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20% 가까이 줄어들며 기존 자동차 부품·정비업계 종사자들은 실직 위기에 놓여있다. 

 

현대차·제네시스만 해도 전기차 판매 비중은 지난해 4% 수준에서 2026년 17%, 2030년 36%로 커진다. 판매 중심축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완전히 옮겨진다는 의미라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지난달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0~2030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지난 2020년 49만3000명인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취업자는 2030년 40만6000명으로 급감한다. 2020년 대비 무려 8만8000명(18%)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인력수급 불균형에 대처하기 위해 고용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자동차산업 인적 자원개발위원회(이하 자동차 ISC)를 지난해 출범시키며 인력 구조 전환 준비에 나섰다. 

 

미래차 인력양성 수요와 내연 기관 자동차 종사자들의 전직 수요 등을 분석해 현장 중심의 훈련 기준을 마련하고 재직자 직무전환·전직교육, 자동차 부품·정비 분야 고용유지 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자동차 ISC는 우선 대표기관인 한국자동차연구원을 중심으로 사업에 착수하고,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등 자동차산업 협·단체 등이 순차적으로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