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일 기자 입력 : 2022.04.12 07:07 ㅣ 수정 : 2022.04.12 07:07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한국은행이 이번 주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까진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 효과, 총재 공석 사태 등을 고려해 ‘동결’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다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예고, 가파른 물가 상승률 대응을 위해 깜짝 인상할 것이란 전망도 상존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14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한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 2020년 3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p) 내리는 ‘빅컷’을 단행한 뒤 같은 해 5월 연 0.50%로 0.25%p 추가 인하했다.
이후 지난해 8월 연 0.75%로 0.25%p 올리고, 같은 해 11월 1.00%로 추가 인상하며 1년 8개월간 이어진 제로(0)금리 시대로 막을 내렸다. 한은은 올 1월 기준금리를 1.25%로 인상한 뒤 2월 금통위에서 동결했다. 지난달에는 금통위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
최근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긴축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한은도 기준금리 인상을 저울질하고 있다. 코로나19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와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서라도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로 10년 3개월 만에 4%대를 넘어섰다.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0.25%~0.50%로 0.25%p 인상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모양새다. 시장에선 연준이 올해 ‘연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일단 현재까진 한은이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지난해 8월부터 올 1월까지 3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상 효과를 점검하며 ‘쉬어가기’를 택할 것이란 설명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대내외 여건 변화가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점검한 후 5월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4월 금통위에서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해 시장에 금리 인상 임박 시그널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여기에 한은 총재 공석 사태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전 한은 총재 후임으로 지명된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이 인사청문회를 거쳐 취임해야 되는 만큼 이달 금통위 참석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한은 금통위는 총재(의장)를 비롯해 6명의 위원 등 총 7명으로 구성돼 있다. 금통위 의장이자 총재가 공석인 만큼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달 금통위에선 주상영 금통위원이 대신 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주 의원은 금통위 내에서 ‘비둘기파(통화정책 완화 선호)’로 분류된다. 금통위는 합의제 의결기관이지만, 의장 대행인 주 위원이 직전 금통위 때처럼 동결 의견을 낼 가능성도 남아있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지난해부터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현재 한은 총재의 부재 상황이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글로벌 긴축 기조를 따라가지 못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반대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상존한다.
시장에서 내다보는 연내 한국의 기준금리 수준은 연 1.75~2.00%다. 현재 기준금리가 연 1.25%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0.25%p씩 2~3차례 인상이 단행될 것이란 전망이다. 올해 남은 한은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는 4·5·7·8·10·11월이다.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통화정책 정상화는 불가피하다.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세가 언제 꺾일지 예단하기 힘든 데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붙일 경우 한은 입장에선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지난 2월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적절한 시기에 적정한 속도로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추후 더 큰 폭의 조정이 불가피하게 돼 경기와 금융 시장에 보다 큰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며 “향후 국내외 금융 시장 상황 등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적정 시점에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