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갈수록 줄어드는 예대마진···수익성 확보 골치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최근 갈수록 좁혀지는 예대금리차(예대마진)에 상호저축은행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기준금리는 계속 인상되고 있지만 법정 최고금리 인하로 대출금리 인상폭에 제한이 있는 데다, 수신금리는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중 저축은행의 1년 정기예금 금리와 일반 대출금리 차이는 6.55%포인트(p)로 전월(6.79%p) 대비 0.14%p 줄었다. 2009년 12월(6.29%p) 이후 약 13년 만에 가장 작은 차이로 좁혀졌다.
최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요 시중은행들의 예대금리차는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에게 예대금리차 확대는 그만큼 돈 벌기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는 의미다. 하지만 저축은행은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통상 기준금리가 오르면 국채·은행채 등 준거금리가 뛰기 때문에 시중은행 대출금리도 상승한다. 대출금리는 준거금리에 차주의 신용도 따라 매겨지는 가산금리를 더한 뒤 우대금리를 빼 산정된다. 반면 예·적금 등 수신금리에는 둔감하게 반응해 인상 속도가 대출금리보단 느리다.
저축은행은 상황이 다르다. 시중은행 만큼 기준금리 상승 영향이 대출금리에 바로 반영되지 않고 수신금리부터 오른다. 저축은행의 만기 1년 이내의 예·적금 비중이 만기 1년 이내 대출 비중보다 높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은 거의 모든 자금을 수신 상품을 통해 끌어 모은다. 따라서 시중은행보다 매력적인 금리 상품을 만들어야 생존할 수 있다.
또 지난해 7월 법정 최고금리가 연 24%에서 연 20%로 낮아진 점도 부담이다. 대출금리를 밀어 올리는 데 제한이 있는 상황에 수신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예대금리차가 더 좁혀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저축은행 고객군은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차주이기 때문에 잠재 부실 위험을 안고 가야 한다. 고금리 대출자들의 경우 가계 상황에 따라 상환 능력이 약해지면 연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대출 중 연체 기간이 1년을 넘어 사실상 회수 포기 상태인 대출 잔액은 8948억원으로 꾸준히 상승세다. 지난해 상반기 중 저축은행 차주 10명 중 6명(66%)이 다중 채무자라는 조사도 있다. 갈수록 ‘대출의 질(質)’이 나빠지고 있는 셈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기업대출이나 담보대출을 취급하다 보니 평균 대출금리가 떨어졌고, 예대금리차 축소까지 이어진 걸로 보인다”며 “당장 실적 위험을 느낄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하지만 예대금리차가 줄어드는 건 예의주시해야 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총대출은 100조5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100조원을 넘어섰다. 순이익 역시 2조원에 육박한다. 저축은행 업계 입장에선 지난해와 같은 호황을 이어가길 원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저축은행은 조달 자금 대부분을 예·적금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수신 자산을 늘려야 한다. 금리가 조금이라도 낮은 시점에 예금 등의 자산을 늘려 놓는 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수신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려 고객 자금을 유치한다고 해도, 건전성을 고려하면 공격적인 대출 확대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아직 저축은행 수신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높은 건 사실이지만, 최근 격차가 줄어들고 있어 경쟁력을 상실할 우려도 있다.
김경근 한국신용평가 애널리스트는 “금리 변화에 대한 수신금리의 민감성 및 차주의 낮은 신용도로 인한 채무 상환 능력 저하 가능성을 감안할 때 금리 상승은 (저축은행) 수익성에 부정적”이라며 “향후 금리 인상이 전망됨에 따라 예대금리차가 축소되고,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