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년간 한국 대기업의 임금 인상률은 EU의 3배 이상, 일본 보다는 몇 배?

박희중 기자 입력 : 2022.04.24 16:07 ㅣ 수정 : 2022.04.27 01:50

한국경영자총협회, 2022년~2018년 동안 한국, 일본, EU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인상률 비교한 2022년 '기업 임금정책에 대한 경영계 권고' 발표해
"과도한 임금인상 지양해야 경쟁력 높이고 청년 채용 확대 가능해" 권고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가운데)이 18개 중소기업 단체 관계자들과 함께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 대통령 직속 상생위원회 설치를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 중 특정사실과 무관함.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박희중 기자] 지난 2002년부터 2018년까지 17년동안 한국, 일본, 유럽연합(EU)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 임금인상률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대기업이 압도적인 임금인상을 해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중소기업도 일본이나 EU에 비하면 높은 임금상승률을 보이고 있지만, 대기업이 더 가파르게 임금을 인상함으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경제적 양극화는 오히려 심화되는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 임금조정과 기업 임금정책에 대한 경영계 권고'를 회원사에 송부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17년 간 한국 대기업의 임금 인상률은 EU의 3배 이상/일본은 5.1% 하락해 한국과 비교 불가능

 

image
[도표=경총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선 한국 대기업 인상률은 EU의 3배 이상이었다. 경총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기업은 2002년과 비교해 2018년의 임금이 120.7%(228만4000원→504만2000원)까지 인상됐다.  반면 EU의 대기업은 2593유로에서 3562유로 인상됐다. 인상률은 37.3%에 그쳤다. 

 

일본 대기업의 월 임금총액은 48만3800엔에서 45만 9000엔으로 오히려 5.1% 감소했다.

 

이 기간 중소기업의 임금인상률을 비교해봐도 우리나라가 압도적 우위를 보인다. 17년 간 월 임금총액 누적인상률의 경우 한국 87.6%, EU 39.1%, 일본 0.8%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한국 직장인들의 생활 및 소비 수준은 일본이나 EU와 같은 선진국보다 빠르게 향상돼온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기업의 가격 경쟁력에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격차, 일본과 EU에선 줄어드는 데 한국에선 확대 추세 / GDP 상승률 대비 임금 인상률도 EU와 일본보다 훨씬 높아

 

이처럼 우리나라 대기업의 인금인상률이 높은 탓에 중소기업과의 임금 격차도 확대되고 있다. 일본과 EU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 총액은 389만3000원이다. 300인 이상 대기업의 임금은 568만7000원, 10인 미만 사업체는 280만8000원이었다. 300인 이상 대기업 근로자의 임금을 '100'이라고 하면 1∼9인 사업체 근로자의 임금은 49.4에 그친 셈이다.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가정해 중소기업의 임금 수준을 파악한 결과 EU는 15개국 평균 75.7이었고 일본은 68.3, 한국은 59.8로 우리나라의 임금 격차가 가장 컸다.

 

2002년 기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EU 74.7, 한국 70.4, 일본 64.2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만 그 격차가 확대된 셈이다.

 

image
[그래픽=경총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 대기업의 임금 상승률은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 상승률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났다.

 

2002∼2018년 우리나라의 1인당 명목 GDP 증가율은 123.3%로 비교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지만, 명목 GDP 증가율 대비 대기업 임금 인상률도 97.9로 1위였다. EU는 73.7이었고, 일본은 명목 GDP가 6.9% 늘었는데도 대기업 임금은 5.1% 줄었다.

 

근속연수별·업종별 임금 격차도 우리나라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컸다. 우리나라의 근속 1년 미만 직원의 임금 대비 근속 30년 이상 직원의 임금 수준은 2.95배로, 일본(2.27배)과 EU(1.65배)보다 높았다.

 

또한 청년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졸 초임 수준도 모든 사업장 규모에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총은 고임금 대기업의 올해 임금을 최소한의 수준으로 인상, 기존 연공 중심의 인사·임금 체계를 일의 가치와 성과 중심으로 개편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히 실적이 좋은 기업의 경우 일시적인 성과급 형태로 보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과도한 임금 인상을 지양해야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년 채용 확대 등을 위한 경영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