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조계현 호(號), '우마무스메' 논란에 국감·소송전 우려 커져
[뉴스투데이=이화연 기자] ‘우마무스메: 프리티더비’(이하 우마무스메)가 카카오게임즈(대표 조계현) 효자 게임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다.
카카오게임즈의 운영 미숙을 질타하는 유저(이용자)들의 집단행동이 곧 한 달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 유저 대표들의 최후 통첩에 본사와의 간담회 자리가 성사됐지만 재발 방지 방안과 관련해 엇박자를 보여 양측은 협상 테이블을 접었다.
결국 유저들은 기존 방안대로 환불소송 참여 인원 모집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일각에서는 조계현 카카오게임즈 대표가 10월 국정감사(국감)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는 강경한 의견까지 쏟아져 나오고 있다.
■ 이용자 요구대로 간담회 진행했지만…주가 6% 하락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게임즈는 전 거래일보다 6.17% 하락한 4만5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4만5450원까지 떨어지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는 상황에 처했다.
사건 해결 실마리로 보였던 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 운영진과 ‘우마무스메 이용자 자율협의체’ 간 간담회 자리가 성사됐지만 주가는 하락 곡선을 그렸다. 이는 간담회에서 양측이 큰 입장 차를 보여 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점이 주가 급락으로 이어진 셈이다.
이번 간담회는 우마무스메 한국서버 서비스를 담당하는 카카오게임즈의 운영 미숙 논란이 불거진 지난달 21일로부터 약 한 달이 경과한 시점에 이뤄졌다.
이용자 일동은 별점 시위, 마차 시위, 트럭 시위에 이어 지난 2일 ‘최후통첩’이라는 제목의 5차 성명문을 내고 △조계현 대표의 공식 사과 △우마무스메 담당 직원의 업무 배제 △소비자 대표와의 간담회 개최 등을 요구했다.
조 대표의 공식 사과는 3일 새벽 3시에 나왔다. 조 대표는 우마무스메 공식 카페에 사과문을 내고 이번 사태와 관련해 문제가 발견된 직원에 대한 업무 재배치 등을 포함해 재발방지를 약속했다. 이어 5일에는 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 담당팀이 이용자 간담회를 진행하겠다는 공지를 냈다. 이번에 간담회가 성사돼 이용자 측의 굵직한 요구는 모두 이뤄진 셈이다.
■ 환불 요구에 ‘머뭇’…환불소송 유지·조계현 대표 국감 요구까지
간담회는 쉬는 시간을 포함해 약 8시간 가량 마라톤 형식으로 진행됐다. 카카오게임즈 운영진 측에서는 사업본부장, 사업실장, 운영실장, 사업팀장, 사업PM 등이 참석해 유저 질문에 답변했다.
간담회 쟁점은 이번 사건 원인인 △무료 재화(쥬얼) 지급량 차별 △픽업(캐릭터 뽑기) 이벤트 기간 차별 △이용자 간 경쟁 콘텐츠 ’챔피언스 미팅’ 공지 늑장 등이다.
이 가운데 간담회를 파행으로 몰고간 사안은 픽업 이벤트 문제다. 이용자 측은 SSR등급 서포트 카드 ‘키타산 블랙’ 픽업 이벤트가 서버 점검으로 조기 종료된 것과 관련해 환불을 요구했지만 운영진 측은 확답을 내놓지 못했다.
키타산 블랙은 강력한 서포트 능력으로 일본 현지에서도 선택률이 가장 높은 서포트 카드 중 하나다. 국내에서도 지난 7월 25일 출시돼 하루 만에 15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카카오게임즈에서도 키타산 블랙 출시일이 제2의 출시일이나 다름 없다고 평가했다.
결국 간담회 이튿날인 18일 조 대표는 재차 사과문을 올려 “간담회 내용이 미흡했던 점에 대해 회사를 대표해 죄송하다”며 “다시 한 번 기회를 달라”고 해명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강경 대응을 이어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조 대표 최신 사과문에는 800개 가까운 댓글이 달렸으며 ‘사과문이 아니라 4과문이다’ 등의 비난도 쏟아졌다.
이용자 대표 측에 따르면 현재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된 환불 요청 영수증은 약 45억원 수준이다.
무엇보다 조 대표의 국감 증인 채택이 수면 위에 오르고 있는 점이 카카오게임즈의 새로운 악재로 등장했다. 실제로 하태경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상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마무스메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이달 초 우마무스메 유저들이 국회의사당 인근에 트럭을 보내 조 대표 사과를 촉구하는 내용으로 시위한 것도 정치권 관심을 촉구하는 수단이었을 것”이라며 “환불 소송 역시 실제 환불을 받으려는 의도보다는 이용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함일 것”이라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