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최병춘 기자] 높은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금리 뿐 아니라 통화량이 시장에 미칠 영향력도 주목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수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5일 “대부분 중앙은행은 금리가 주된 정책수단”이라며 “상대적으로 통화의 ‘가격’에 해당하는 금리에 정책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통화량에 대한 주목도는 낮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최근 국제결제은행(BIS) 연구는 통화량에 주목해, 고인플레이션 국면에서는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연구에 따르면 32개 국가의 10년 전 대비 시중통화량(M2) 증가율과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간 상관계수는 0.98이었다. 박 연구원은 “미국으로 한정하더라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된다”며 “CPI 전년대비 상승률이 5%를 공히 넘는 구간에서는 과거 2년의 시차를 두고 M2 증가율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물가상승률에 따라 국면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로 물가의 자정작용 작동 여부를 꼽았다.
박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낮을 때는 물가 상승이 일부 품목에 국한돼 해당 물품의 대체재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이 조절되지만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는 물가 상승에 ‘공통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방위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BIS의 이번 연구는 공통요인 중 하나가 통화량일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를 근거로 통화량의 시장영향력에도 주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글로벌(미국, 유로존, 중국, 일본 4개 지역) M2는 지난해 9월 이후 전년대비 마이너스 증가율을 지속하고 있다”며 “아직 시장은 다소 안정적이나, 유동성이 제약적인 상황에서 시장이 안정적인 것은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따라서 통화량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상황과 그로 인한 일시적 환율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