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JOB카툰]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 폐기물서 연료유·가스·고형연료 등 생산하는 전문가

강륜주 기자 입력 : 2023.07.08 07:02 ㅣ 수정 : 2023.07.08 07:02

화학공학·응용화학·에너지 응용화학·에너지공학·환경공학 전공…석사 이상 학위 필요
외국 논문 읽을 수 있는 영어 실력 요구
폐기물 에너지화, 정부와 민간의 관심 주목으로 관련 인력 수요 증가 전망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일러스트=MIDJOURNEY A.I / 사진편집=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강륜주 기자]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은 폐기물을 에너지화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실험과 관련 기술동향 조사 및 기업교육을 통한 기술 이전 등의 전과정을 맡고 있다.

 

■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이 하는 일은?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은 △고분자 폐기물로부터의 고급 연료유를 생산하는 기술 △가연성 폐기물로부터 고형연료나 가스를 생산하는 기술 △유기성 폐기물을 에너지화하는 기술 등을 연구한다. 또 공공연구소 소속 연구원의 경우, 평상시 국내외 문헌이나 기술동향 등을 조사한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연구 주제가 발견되면 연구소에 연구과제 신청 등 연구준비를 한다. 연구과제로 선정되면, 실내 실험실에서 비커 등 소규모 실험기자재를 가지고 실험을 하고, 기술의 성공 가능성이 보이면 야외 실험실에 벤치 규모의 반응장치를 제작해 실험한다.

 

실험에 성공하면 집채만한 규모의 실증 파이로트 플랜트를 설치해 실증 실험을 한다. 이때 반응장치나 파이로트 플랜트 제작을 위해 개념설계와 기본설계를 하고, 실제 제작을 위해 전문제작업체에 의뢰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이외에 기업교육을 통해 기술을 이전하는 일을 한다. 보통 정규 근로시간을 준수하지만, 반응장치를 사용해 실험이 진행되면 반응장치 운전과 데이터 분석을 위해 퇴근시간 없이 연구를 해야 한다. 

 

실험실 실내의 위험은 거의 없지만, 규모가 큰 플랜트 단위의 실험에서는 화학물이나 가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마스크나 고글, 안전화, 안전모 등을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이 되는 법은?

 

대학에서 화학공학, 응용화학, 에너지 응용화학 또는 에너지공학, 환경공학을 전공해야 하고, 최소 석사이상의 학위가 필요하다.

 

특히 폐기물이 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은 공정설비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은 반응설비에 대한 개념설계 뿐만 아니라 상세설계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전공지식 이 외에 기계 분야의 지식이 있으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연구원으로서 논리력과 분석력이 요구된다. 연구원들끼리의 협업이 많아 대인관계가 좋아야 하고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낮기 때문에 외국 논문을 읽을 정도의 영어 실력이 필요하고 일본어나 독일어를 배워두는 것도 좋다.

 

■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의 현재와 미래는?

 

폐기물에너지화연구원은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등 공공기관이나 에너지관련 민간기업에서 연구원으로 일한다. 또한 폐기물 고형연료(RDF) 등을 생산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쓰레기처리시설(MBT)이나 민간기업, 그리고 이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에 근무할 수 있다.

 

민간기업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더 안정된 공공기관 연구소로 이직하고 공공기관 연구소의 연구원은 대학 교수로 전직을 하기도 한다. 같은 연구소 내에서는 청정화석연료 등 유사한 에너지 관련 분야로 자리를 옮길 수도 있다.

 

폐기물 에너지화는 매일 2021년 기준 54만781t이나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와 온실가스 감축, 대체에너지 자원 확보, 새로운 일자리 창출, 주민 민원·님비현상 해소, 해양배출금지 등 당면 국제문제 해결 등의 측면에서 정부와 민간 모두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분야다.

 

이에 정부에서는 공공연구소와 에너지관련 공단을 통해 기술개발과 시설확충에 예산과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고형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을 운영하거나 건립 중인 곳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 고형연료 제조는 민간 사업자가 소규모로 운영하는 수준이었으나 최근에 대기업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연구 인력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