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원 기자 입력 : 2023.08.28 01:35 ㅣ 수정 : 2023.08.28 01:35
미국 금리인상 고비 넘기자 이번에는 중국발 경제위기 징후에 한국경제 몸살, 한국은행 중국 수출감소, 내수부진, 부동산위기 등 고려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수정 불가피 예상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지난주 세계증시는 잭슨홀 미팅에서 나온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에 모든 관심이 쏠렸었다.
파월 의장은 금리 추가인상 가능성에 대한 언급은 있었지만 예상보다 강도가 높지 않다는 판단에 시장은 발언이후 큰 동요를 보이지 않았다. 작년 잭슨홀 미팅에서 강도 높은 금리인상을 지속하겠다고 밝혀 시장을 충격파에 몰아넣었던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파월이 부드러워진게 아니냐는 분석까지 나왔다.
세계증시는 작년 6월부터 시작된 연준의 고강도 금리인상에 일희일비했다. 연준은 파월의 매파적 발언을 지지라도 하듯 작년6월이후 10연속 금리를 인상했고, 그때마다 시장은 출렁거렸다. 금리인상이 계속되면서 충격과 공포는 어느정도 완화되었고, 연준이 더 이상의 금리인상을 멈추고, 연내에는 금리를 인하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 것이란 낙관적 예상이 나왔지만, 파월의 발언을 고려하면 적어도 연내 금리인하는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다시한번 금리를 인상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은 많이 가라앉은 상태이다. 일각에선 연준이 9월 FOMC를 건너뛰고 11월 FOMC에서 금리를 마지막으로 한번 더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점치고 있다.
잭슨홀 미팅이 끝나고 시장은 이제 미국 경제지표보다 중국발 경제위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경제가 수출을 비롯해 내수, 부동산 등 전방위적으로 부진을 넘어 쇼크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는 위기설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잇딴 위기설에 상하이종합지수는 연초 수준으로 회귀했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빠르게 중국시장에 자금을 회수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뒤늦게 금리인하 등 위기에 맞서 대응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제 시장에서 효과를 보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다, 과연 이 정도 수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 시각이 우세하다.
중국의 경기침체는 하반기 한국경제에 더 짙은 불확실성을 던져주고 있다. 과거보다는 많이 낮아졌지만 여전히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중국의 경제위기는 한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시되기 때문이다.
그간 미국의 금리인상과 미국 경제에 초점을 맞췄던 한국은행은 이제 중국경제까지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다. 이미 한국은행은 중국발 위기를 고려해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이 7월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상하면서 한미간 금리격차가 더 벌어진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 오름세, 가계대출 증가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한다면 한은 역시 금리를 올리는 게 맞지만, 중국발 쇼크로 인해 하반기 경기회복이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올릴 경우 소비와 투자 위축을 불러올 수 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한 이면에는 부실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도 고려했을 것이란 추론이다.
하반기 경제 전망도 수정해야할 판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한은이 중국 리스크를 고려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에서 0.1∼0.2%p 정도 낮출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최대 교역국인 중국경제가 부진한 상황에서 수출부문에서 하반기 반등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은 한국경제에는 가장 큰 고민으로 떠오르고 있다.
다만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은 제한적일 것이란 조심스러운 낙관론도 적지 않다. 금융당국은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에 대한 국내 금융사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40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아예 무시할 수준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중국발 위기가 어느정도 수준까지 확산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중국과 경제적으로 여전히 밀접한 상황에서 중국발 경제위기가 파국으로 치달을 경우 국내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 또한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19세기말 황화론을 떠올리게 하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