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고령화에 요양사업 이어 재산신탁 나서는 생보사…"수요 증가 대응"
교보생명 '종합재산신탁' 인가 획득…생보 5곳‧손보 1곳 라이선스 보유
2022년 상속 및 증여 재산 규모 188조4214억원…신탁시장 관심 확대
KB라이프‧신한라이프 요양사업 박차…농협생명도 日 디지털요양사와 협력
"요양사업, 당장 수익화 어렵지만 수요 증가…상품 연계로 수익 확보 가능"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저출생‧고령화로 보험 수요가 감소하며 생보업계 업황 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생보사들이 타개책으로 요양사업에 이어 재산신탁에 나서고 있다. 초고령화 사회에 맞춰 수익 확대 전략으로 선택한 것이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지난달 26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재산신탁업 인가를 받았다. 2007년 금전신탁에 뛰어든 교보생명은 이번 재산신탁업 인가로 종합재산신탁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종합재산신탁이란 하나의 계약으로 금전, 부동산, 유가증권, 특수재산 등 여러 유형의 재산을 함께 수탁해 통합 관리 및 운영하는 서비스다. 고객이 사망이나 치매 등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본인의 뜻대로 재산이 사용될 수 있도록 미리 설계하고 상속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노후 준비 수단 중 하나로 지목된다.
교보생명이 추진 중인 종합재산신탁은 유언대용 신탁, 증여 신탁, 장애인 신탁, 후견 신탁 등 네 가지다. 하반기에는 관련 법률 개정에 맞춰 보험금청구권 신탁까지 시작한다.
교보생명이 재산신탁업 인가를 받으면서 삼성생명, 한화생명까지 대형 생보 3사 모두 종합재산신탁 제공이 가능해졌다. 이 밖에 흥국생명과 미래에셋생명도 재산신탁업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손보업계에서는 삼성화재가 신탁업 라이선스를 보유 중이다.
생보사들이 종합재산신탁에 진출하는 것은 관련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상속 및 증여 재산 규모는 188조4214억원으로 2017년 90조4496억원에 비해 2.1배 늘었다. 금융권에서는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상속‧증여 시장신탁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관심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달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미래금융세미나'에서 "인구의 감소는 보험가입 여력이 있는 소비자 수의 감소를 초래해 전통적인 보험상품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보험사의 성장성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신탁 등 은퇴자산 관리 수요가 급증한 일본의 사례를 들며 신탁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세제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종합재산신탁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탁가능재산의 범위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생보업계의 한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급격한 고령화 추세에 생보업계의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이라며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며 노후 자산관리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신탁사업은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생보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생보사는 고객 생애 전반에 맞춘 상품 설계에 강점이 있는 만큼 종합재산신탁업은 통해 고객 관리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영역"이라며 "생보업계의 신탁업 경쟁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보사들은 초고령화에 대응해 종합재산신탁 외에 요양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KB라이프는 2030년까지 국내 1위 요양사업자로 올라선다는 목표를 갖고 요양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요양사업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를 통해 강동케어센터, 위례빌리지, 서초빌리지, 평창카운티 등 4개 요양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KB라이프는 2025년 은평빌리지, 광교빌리지, 강동빌리지를 차례로 개소할 계획이다.
신한라이프는 올해 1월 시니어 사업 전담 자회사 '신한라이프케어'를 공식 출범하고 하남 미사에 노인요양시설 부지를 매입했다. 내년 오픈 계획인 하남 미사 1호점은 60~7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형 요양시설로 건립될 예정이다.
NH농협생명은 올해 5월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가 시작된 일본의 대표 디지털 요양사업 회사 '젠코카이' 산하 젠코종합연구소와 시니어사업에 대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한국에 비해 요양사업이 더 활성화된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수익 증대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다만 요양사업은 부지‧건물 매입, 건축 등 초기 투자비용이 커 리스크가 크다. 때문에 요양사업과 간병보험 등 상품의 연계가 필요하다.
생보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국내 보험사의 요양사업 진출은 이제 시작 단계이지만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며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당장 수익으로 연결되기는 어렵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보험상품과의 연계를 통해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