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지속가능경영 컨퍼런스⑦] 윤영창 PwC컨설팅 전무 "산업전략 차원에서 저탄소 공급망 갖춰야"
주요 글로벌 기업, 저탄소‧순환자원 중심 친환경제품 핵심방향 설정
국내 기업, 저탄소 제품 생산 못하면 장기적으로 거래에서 배제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국내 산업계가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강화된 탄소중립(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 요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각 기업은 물론 정부도 국가 산업전략 차원에서 노력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윤영창 PwC컨설팅 전무는 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기후 위기 속 온실가스 배출과 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 '2024 대한민국 지속가능경영 컨퍼런스'에 주제발표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하고 뉴스투데이가 주관해 열렸다. 또한 환경부,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제인협회가 행사를 후원했다.
윤 전무는 "제조업 기반인 우리 산업 구조에서 보면 이러한 친환경 제품 전략 트렌드는 우리 산업경쟁력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바라봐야 하는 사항"이라며 "각 기업의 노력뿐만 아니라 국가산업 전반에 걸쳐 이러한 저탄소‧순환자원 공급망 체계를 갖춰나가기 위해 꼼꼼하게 짜여진 국가산업전략도 함께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전무는 현재 ESG규제 관련 주요 트렌드로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강화 △탄소규제 강화 △고객 및 투자자 요구 강화 등 3가지를 꼽았다. 탄소규제는 탄소중립과 관련 산업육성에 집중돼 있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규제 강화가 자국 산업을 육성‧보호하기 위한 보호무역주의에 입각해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다.
윤 전무는 "글로벌 고객사가 더욱 적극적이고 보편적인 목표를 정해 공급망에 해당되는 기업의 참여를 요구하고 공동 연대를 갖추기 위한 전선을 만들고 있다"면서 "국내 산업 생태계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글로벌 기업의 적극적·공격적인 목표 설정은 국내 제조기업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탄소중립과 관련된 친환경 전략은 일시적 대응이 아니라 일상적 경영관리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면서 "전략적 관점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30%는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재생에너지 전환을 요구받았다. 글로벌 고객사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 시점은 △2025년 33.3% △2030년 9.5% △2030년 이후 38%다.
윤 전무는 "재생에너지 전환은 글로벌 비즈니스를 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이 같은 요구사항은 부탁의 관점이 아닌 계약상 요구사항이며 달성하지 못하면 페널티금액의 정산을 요구하거나 계약 물량을 축소할 수 있다는 조항을 강력하게 담고 있다"고 말했다.
공급망을 대상으로 한 ESG 평가 역시 중요한 요소로 지목된다. 고객사가 ESG 전반을 평가한 후 입찰이나 거래 조건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윤 전무는 "ESG 평가는 5~10% 비중을 차지하는데 가격 경쟁력 관점에서 만회하려면 공급가격의 10~20% 수준"이라며 "ESG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중요한 사업경쟁력 요소를 잃는 것과 같다"고 풀이했다.
국내 중견‧중소기업도 글로벌 고객사 공급망에 포함돼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윤 전무는 "ESG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5~10% 점수를 얻지 못해 거래가 줄거나 배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면서 "국내 중견‧중소기업이 예의주시하고 대응해야 하는 주제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국내 주요 기업은 대부분 2030년까지 감축 목표를 제시하고 2050년을 최종 목표시점으로 정했다.
윤 전무는 "(국내 기업은) 목표설정 범위를 본사나 일부 주요 사업장 정도로만 설정했는데 앞으로 국내 및 해외 자회사 사업장을 전부 포함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하고 구체적인 감축방법과 중간 감축목표도 함께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탄소중립, 탄소감축 등 지금까지 기업이 접근해 온 방식을 저탄소 제품 관점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근 발표‧시행되는 다양한 규제가 제품 단위의 저탄소 측정에 맞춰져 있고 글로벌 고객사 요구사항도 이에 대한 정보 요구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윤 전무는 "앞으로는 제품 단위당 탄소 배출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중심으로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며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탄소량을 낮추는 것만으로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생산과정은 물론 원료조달, 유통, 사용, 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탄소배출을 감축하라는 요구가 커지고 있어 생산공장뿐 아니라 공급업체까지 대상을 늘려야 한다는 얘기다. 또한 고객의 사용‧폐기 단계에서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자원순환율을 높이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윤 전무는 "저탄소 전환 과정에서 기업이 친환경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규제가 본격 진행되고 기업 전략이 본격 시행되는 2026~2030년에는 친환경 제품 비중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객사 친환경 전략을 시행하려면 공급망 협조가 매우 중요하며 저탄소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거래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