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모도원 기자] 증권업계는 탄소중립위원회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확대했지만 국내 산업과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중립위원회는 지난 18일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발표하며 향후 온실가스 감축량을 기존 26.3%에서 4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산업계는 2030년까지 철강·시멘트·석유 등의 부문에서 2018년(2억6050만 톤) 대비 14.5%를 줄인 2억2260만 톤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과제를 안게됐다.
황유식 NH투자증권 부부장은 20일 “온실가스 감축 이슈가 당장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 같지 않다”며 “탄소중립은 이전부터 꾸준히 제기돼온 것이기 때문에 탄소중립 재료가 주가에 이미 반영돼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탄소중립 정책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산업계가 해결해야하는 과제와 부담도 있다. 탄소 감축을 위한 설비 변경과 자금 문제다.
임상국 KB증권 수석연구원은 “목표로 한 탄소 감축량의 실제 이행은 2030년으로 당장 업계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며 “다만 탄소 감축을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기술이 수반돼야 하기 때문에 자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산업계 업종들이 탄소를 감축하기 위해선 기존 공정 자체를 바꿔야 한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기업 스스로 감당하기에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정부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는 대표적인 탄소 감축 기술인 수소환원제철(석탄이 아닌 수소로 철광석을 녹이는 기술) 적용에만 109조4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소환원제철 개발 때까진 기존 고로 생산체제를 유지해야 해 탄소비용을 감수해야 한다”며 “고로 설비 매물과 신규 설비 투자에도 수십조원의 자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임상국 수석연구원은 “탄소 배출 감축 이행에 앞서 자본 지출과 설비, 기술 문제 등이 해결되지 못했다”며 “정부와 기업이 함께 손잡고 나가야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이런 문제를 인지해 관련 사업군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탄소중립 회의에서 “탄소중립을 이끌어가기 위해 재정적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라며 “관련 기술 개발 투자를 늘리고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어가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