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일 기자 입력 : 2024.10.24 08:18 ㅣ 수정 : 2024.10.24 08:18
케·카·토뱅 주담대 1년새 47% 늘자 “설립 취지와 안맞아” 비판 목소리 당국도 손쉬운 영업 언급하며 압박 가계부채 문제 때마다 인뱅 도마에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가운데 인터넷전문은행 업계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라는 설립 취지와 달리 우량대출 중심의 영업 행태로 가계대출 증가세에 일조하고 있다는 건데,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따가운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케이·카카오·토스뱅크의 지난 8월 기준 주담대(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34조4000억원으로 전년동월(23조4000억원) 대비 11조원(47%) 증가했다. 아직 주담대 상품이 없는 토스뱅크는 전월세대출 잔액만 집계에 포함했다.
이 기간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역시 515조원에서 568조7000억원으로 52조7000억원(10.4%) 늘어났다. 절대 규모나 증가 규모는 시중은행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인터넷은행 업계의 최근 1년간 주담대 증가율이 너무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터넷은행을 향한 비판은 크게 ‘가계대출 증가세 기여’와 ‘설립 취지 훼손’을 중심으로 제기된다. 먼저 금융당국이 매월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은행권 가계대출 억제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은행들은 공격적인 주담대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주담대는 건당 대출 단위가 크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는 상품으로 꼽힌다.
또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목표로 출범한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중심 대출 확대가 부적절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상대적으로 신용대출보다 떼일 위험이 낮은 담보대출 취급을 늘려 이자 이익 확대를 도모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그동안 인터넷은행들은 여신 성장의 주요 전략으로 주담대를 지목했는데 실제 성과로도 이어지고 있는 흐름이다.
김 의원은 “인터넷은행들이 주담대를 급격히 늘리는 것은 포용적 금융을 목표로 한 설립 취지와 맞지 않다”며 “급격한 대출 증가가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금융시장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어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도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 속 인터넷은행 주담대 잔액 확대에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전일 열린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주담대 위주의 손쉬운 영업에 치중하기보다는 은행권에서 충족되기 어려운 다양한 자금수요나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공급 등에 차질이 없도록 본연의 역할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영업이 도마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3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빠르게 늘어났을 때 금융당국은 인터넷은행 업계를 ‘주범’으로 지목하고 압박했다. 당시 인터넷은행들은 은행권 주담대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한 데다 대환대출 영향이 반영된 결과라고 항변한 바 있다.
주담대 확대를 둘러싼 비판이 재현되자 인터넷은행 업계는 난감한 기색이다. 올해 중·저신용 대출 목표치(평잔 30% 이상)를 상회하는 공급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데다, 주담대 증가분의 대부분은 연초 시행된 대환(갈아타기)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안정적 중·저신용 대출 공급에 필요한 기초체력 증대를 위해서는 일정 규모의 담보대출 취급으로 건전·수익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터넷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주담대의 60~70% 정도가 대환 플랫폼을 통해 취급됐고 고객들도 인터넷은행을 이용하며 더 낮은 금리로 이자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었다”면서 “인터넷은행은 여전히 시중은행보다 주담대 잔액 규모가 작고, 금리 인상 같은 조치로 당국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동참해왔다. 공격적인 영업을 펼쳤다는 건 오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