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성장’ 인터넷은행, 지방은행도 따라잡았다...판도 변화 주목
카뱅 순익 키워 부산은행 맹추격
여신 규모도 주요 지방은행 우위
고객·여신 확대로 성장세 뚜렷해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인터넷은행들이 빠른 실적 증대로 지방은행과의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시장에서는 비대면으로 기울고 있는 금융시장 변화가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의 희비를 가를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의 경쟁 판도는 대출 확대, 건전성 관리 등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556억원으로 BNK부산은행(3847억원)을 291억원 차이로 추격 중이다. 지난해의 경우 두 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격차가 1130억원에 달했는데 큰 폭 줄어들었다. 이 기간 카카오뱅크는 당기순이익이 27.3% 증가했는데, 부산은행은 2.1%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으로 보면 카카오뱅크는 BNK경남은행(2908억원)과 광주은행(2511억원), 전북은행(1732억원) 등의 지방은행을 이미 앞서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5월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3425억원)보다도 422억원 많은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일각에선 카카오뱅크가 올 4분기를 포함한 연간 실적에서 지방은행 4개사를 모두 넘어서는 기록 경신에 성공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장 3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으로 봐도 카카오뱅크(1242억원)와 부산은행(1333억원)의 격차가 91억원에 불과한 상황이다.
케이뱅크도 빠른 실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22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20.2% 늘었다. 아직 주요 지방은행들보다 당기순이익 규모는 작지만, 업력 및 자산 차이를 고려했을 때 매서운 추격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에선 인터넷은행의 영업지표가 지방은행을 뛰어넘는 건 시간문제라는 관측도 나온다. 아직 체급으로 비교했을 때 지방은행이 우위에 있지만, 인터넷은행의 잠재력을 더 높게 평가하는 시각이다. 특히 최근의 비대면 금융 활성화 흐름은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더하고 있다.
올 9월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고객 수는 각각 2443만명, 1205만명에 달한다. 인터넷은행들이 플랫폼을 통해 공급하는 금융상품 확대와 고객 성장이 맞물리면서 이익·자산 증대에도 속도가 붙는 선순환 효과가 뚜렷하다.
실제 카카오뱅크의 올 9월 말 기준 총여신은 전년동기 대비 15.6% 증가한 4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준으로 경남은행(41조7674억원), 광주은행(24조486억원), 전북은행(17조9419억원)을 웃도는 수준이다. 케이뱅크는 올 3분기 여신 잔액을 16조2000억원까지 늘렸다.
반면 지방은행들의 업황은 녹록치 않다. 기반을 두고 있는 지역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대출 등 이익 기반 확대에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은행들은 비대면 금융으로 사실상 전국 영업에 나서고 있는 반면, 지방은행들은 확장성에 한계를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한 지방은행의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여신 구성의 지역 의존도가 클 수밖에 없고 지역 경기에 따라 (대출 성장도) 좌우될 수 있다”며 “조달비용이 높아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쉽지 않고, 수도권 고객과 거래를 늘리는 것도 이미 거래 은행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했다.
인터넷은행의 성장과 지방은행의 정체가 지속될 경우 은행권 판도 변화로 직결될 수 있다. 특히 2017년 처음 출범한 인터넷은행이 기성 은행을 재무적으로 뛰어넘는 지표가 잇따르고 있다는 건 금융시장 변화의 상징적 사례로 작용할 것이란 평가다.
인터넷은행들은 중·저신용자와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 등 가계대출을 비롯해 기업대출까지 영업 반경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을 핵심 공략 대상으로 설정하고 영업력을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다만 인터넷은행 역시 공격적인 대출 확대 과정에서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은 경계하고 있다.
인터넷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계부채 문제로 가계대출을 크게 늘릴 수 없는 건 인터넷은행도 해당하는 이슈다. 기업대출에서도 (플랫폼 등) 인터넷은행의 경쟁력이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연체율이나 부실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신용평가모형을 계속 고도화하면서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